분류 전체보기 38

대한사소협회(Korea saso association, KSA) 소개 및 교육일정

협회장 : 윤정현 부협회장 : 나태은대한사소협회(Korea Saso Association)는 단순한 테크닉이 아닌 통증의 근원을 분석하여 사소라는 매개체를 통한 치료적접근을 제시합니다. 약 2만명의 정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3000명의 KSA master를 배출했습니다. * 현재 정원과다로 인해 추가적인 정회원은 모집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단, 임원진의 직인이 담긴 추천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 입회가능합니다.)대한사소협회 교육일정은 아래의 사진을 참고하여주시길 바랍니다. * 정원조기 마감시 예비등록으로 넘어갑니다.8자 테크닉, A 테크닉, Saso manipulation 등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통증없는 세상을 꿈꿉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3.11.03

장애인복지시설 종류 :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의료재활시설,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장애인복지시설 종류 1. 장애인거주시설 2.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3. 장애인직업재활시설 4. 장애인의료재활시설 5. 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 1.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장애유형이 같거나 유사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이용하게 하여 그들의 장애유형에 적합한 주거지원ㆍ일상생활지원ㆍ지역사회생활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의 정도가 심하여 항상 도움이 필요한 장애인에게 주거지원ㆍ일상생활지원ㆍ지역사회생활지원ㆍ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장애영유아 거주시설 6세 미만의 장애영유아를 보호하고 재활에 필요한 주거지원ㆍ일상생활지원ㆍ지역사회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장애인 단기주거시설 보호자의 일시적 부재 등으로 도움이 필요한 장애인에게 단기간 주거 서비스, 지역사회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

카테고리 없음 2022.12.10

추간판 탈출증(HIVD)

척추 발달 - 태아 시절, 척추가 C자형의 후만(Kyphosis)으로 굽어 있는 1차굽이 형성 - 태어난 후 중력에 저항하며 머리를 들며 목이 전만(Lordosis)된 2차굽이 형성 - 보행을 연습하며 허리를 펴게 되면서 허리가 전만(Lordosis)된 2차굽이 형성 정상 척추정렬 (중력중심선이 지나가는 위치) 시상면(Sagittal plane) - 바깥귀(External ear) - 봉우리돌기(Acromion process) - 12번 등뼈(T12) - 5번 허리뼈(L5) - 넙다리 큰돌기(Greater trochanter) - 무릎관절(Knee joint) - 가쪽복사뼈(Lateral malleolus) 2~3cm 전방 척추에 존재하는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은 자세에 따라 부하되..

카테고리 없음 2022.11.24

척추 협착증(Spinal stenosis) : 중앙협착증(Central stenosis), 가쪽협착증(Lateral stenosis)

척추 협착증(Spinal stenosis) 여러 원인으로 인해 척추관(척추강, Vertebral canal)이 좁아져서 척수(Spinal cord)를 비롯한 신경(Nerve)이 압박 받아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 발생 연령 주로 50대 이상의 장노년층에서 호발 성별 분포 남성(Male) > 여성(Female) 원인 1. 선천적인 척추의 기형 2. 추간판(IVD)의 척추관 침범(중앙으로 돌출) 3. 황색인대(Ligamentum flavum)의 과다증식 대표적인 증상으로 보행을 지속하면 다리의 통증과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하며 조금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완화되는 것이 반복되는 간헐적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이 있다. 활동을 하면 통증이 증가하고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

카테고리 없음 2022.11.23

호르몬(Hormone) 기능과 구조에 따른 분류 : 펩티드(Peptide), 스테로이드(Steroid), 아민ㆍ아미노산(Amineㆍamino acid) 호르몬

호르몬(Hormone)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① 대사조절 탄수화물(Carbohydrate), 지질(Lipid), 단백질(Protein), 전해질(Electrolyte) 등의 영양분을 분해하고 합성하는 대사를 통한 생체의 기능유지는 호르몬에 의해 이뤄진다. ② 스트레스 적응 갑작스러운 외부의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해 발생하는 생체반응은 호르몬에 의해 이루어진다. (대표적으로 코티솔 같은 부신겉질 호르몬) ③ 환경 적응 날씨, 온도 등의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생리변화가 이루어지는데, 호르몬에 의해 이루어진다. ④ 개체 발달ㆍ성장 태생기에서 성숙한 개체로 성장할 때까지 호르몬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⑤ 종의 유지ㆍ번식 종의 유지와 번식 등의 생식기능은 호르몬에 의해 이루어진다. ⑥ 섭식ㆍ음수 ..

카테고리 없음 2022.11.22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 정의(Definition) 골관절염은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이 소실되는 진행되는(Progressive) 퇴행성 질환이다. * 전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관절질환임 자연스러운 노화의 결과로 간주 되어서는 안됨 동의어로 "퇴행성 관절증(Degenerative joint disease, DJD)이라고도 한다." 주로 체중부하를 받는 관절들에서 다발하며 경추(Cervical spine), PIP, DID 관절 또한 흔하다. 유병률(Prevalence) 고령자에게 호발하며 주로 45 ~ 65세에 시작되는 경우가 많음 65세 이상 인구의 33~90%가 골관절염 남성보다 여성에게 호발하며, 특히 45세 이후의 폐경기 여성에게 흔하다. 특히 남성의 경우 ..

카테고리 없음 2022.11.17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류마티스 관절염(Rhumatoid arthritis, RA) 정의(Definition) 류마티스 관절염은 만성 자가면역 염증성 질환으로, (Chronic autoimmune inflammatory disease) 대칭적인 관절 통증(joint pain), 부종(Swelling)을 발생시키고 그 후, 침범된 관절을 파괴(Destruction)되는 질환이다. 주로 양쪽(Bilateral) MCP, PIP joints가 침범되며 질환이 시작된다. * 절대 DIP joint를 침범하지 않는다. * 이외에도 손목(Wrist), 무릎(Knee), 발목(Ankle), 발가락(Toes)으로도 빈번하게 대칭적으로 침범된다. 초기 증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판별하는 것은 어렵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80%에서 목 부위..

카테고리 없음 2022.11.17

동결견(오십견, Frozen shoulder) 혹은 유착성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원인, 치료, 관리

동결견(오십견, Frozen shoulder) = 유착성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주로 50대에 많이 발생한다고 하여 "오십견"이라는 명칭이 붙었으나 최근에는 발병연령이 빨라져 40~60대에서 흔히 발생된다.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다발하는 경향이 있다. 주로 비우세팔(Non-dominant arm)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나 가끔 양측성(Bilateral)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앉아서 일하는 육체노동자에게 많이 발생하며 당뇨병(Diabetes mellitus)을 가진 환자에게서 발병할 확률이 10~20% 정도 더 높다. 동결견(Frozen shoulder)은 총 4단계로 나뉜다. Stage 1 (Pre-adhesive stage) 관절가동범위(ROM)가 정상이거나 약간의 소실이 있는 단..

카테고리 없음 2022.11.16

상완이두근염(Bicipital tendinitis) 원인, 검사, 관리, 예방, 예후

상완이두건염(Bicipital tendinitis) => 상완이두근의 힘줄이 손상 등 여러 원인에 의해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 상완이두건염이 발생하는 흔한 기전 두 가지가 존재하는데, 1. 장두(Long head)의 상완이두근구(Bicipital groove)에서 앞위쪽(Anterosuperior) 충돌(Impingement) 2. 상완이두근구에서의 앞쪽 탈구(Anterior subluxation) 원인들은 다음과 같다. 1. 머리 위로 손을 올리는 스포츠(Overhand sport) (머리 위로 손을 올릴 때, 오목볼록 법칙에 의해 앞쪽으로 활주(Sliding)가 발생, 야구의 투수에게서 흔함) 2. 과도한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lifter) (상완이두근의 과사용을 발생시킴) 3. 장두가 탈구되지..

카테고리 없음 2022.11.16